분류 전체보기
-
HTTP란 무엇인가?Web 2025. 4. 15. 00:2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약(프로토콜)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주고받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HTTP 요청을 서버로 보내고,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을 HTTP를 통해 반환합니다.1. HTTP의 기본 동작 원리 요청(Request):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등)는 웹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냅니다. 이 요청은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것입..
-
💡 인터넷이란? – 백엔드 개발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정리Web 2025. 4. 15. 00:14
백엔드 개발을 공부하다 보면 "인터넷", "웹", "서버" 같은 용어를 수도 없이 접하게 됩니다.하지만 막상 "인터넷이 뭐야?"라고 물어보면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백엔드 개발에 꼭 필요한 수준에서, 인터넷이 어떤 구조로 동작하는지, 그리고 실제 웹 요청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인터넷이란?인터넷은 전 세계의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서로 연결된 거대한 네트워크입니다.즉,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컴퓨터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이죠.📌 백엔드 개발자 입장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내가 만든 서버도 이 인터넷이라는 공간 안에 있고,- 사용자의 브라우저도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요청을 보내며,- 서버는 응답을 되돌려주는 구조라는 점입니다.⚙️ ..
-
Springboot Timezone(타임존)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15. 00:01
시간은 모든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시간 처리를 위해 타임존 개념과 변환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KST(한국 표준시)와 UTC(세계 표준시)의 개념 비교부터 Spring Boot에서의 변환 예제까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KST vs UTC 구분 설명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전 세계 표준 시간. 한국 시간(KST)은 UTC보다 9시간 빠름 KST (Korea Standard Time) 한국 표준 시간 (UTC +09:00) 📌 예시:- UTC 기준: 2025-04-14 06:00:00- KST 기준: 2..
-
ContentType 을 알아보자! (multipart/form-data, application/json)Web 2025. 4. 14. 16:40
📦 multipart/form-data vs application/json 비교 항목 multipart/form-data application/json 주 용도 파일 업로드 (이미지, 문서 등)와 일반 폼 데이터 전송 JSON 형식의 구조화된 데이터 전송 데이터 포맷 각 필드가 boundary로 구분되어 전송됨 전체 요청 본문이 JSON 문자열로 구성됨 파일 전송 가능 여부 ✅ 가능 ❌ 불가능 사용되는 HTTP 메서드 POST POST, PUT, PATCH 서버 파싱 방법 ..
-
🔐 MySQL Lock 이해하기 – 데이터 일관성과 성능 관리를 위한 필수 개념DB/Mysql 2025. 4. 10. 16:32
My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는 Lock(락)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락은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읽거나 수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며,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ySQL의 Lock 개념을 쉽게 풀어 설명하고, 주요 락 종류와 실무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알아보겠습니다.1. Lock이란 무엇인가?Lock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성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입니다.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데이터에 동시에 접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충돌이나 일관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 락은 “누가 언제 데이터를 읽거나 수정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규칙입니다.2. 왜 락이 필요한가? 데이터 무결성 보장: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
-
✅ MySQL 테이블 간 관계 설정 – 물리적 FK vs 논리적 FK, 그리고 Lock 이슈까지!DB/Mysql 2025. 4. 10. 16:28
MySQL에서 여러 테이블을 연관시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물리적으로 Foreign Key 제약조건(FK)을 설정하는 방법 논리적으로만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각 방식은 장단점이 뚜렷하고, 시스템의 구조나 규모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과 함께, 물리적 FK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Lock 이슈까지 실무 관점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예시 테이블 – 사용자와 게시글설명을 돕기 위해 사용자(User)와 게시글(Post) 테이블을 사용하겠습니다.💡 물리적으로 FK 제약조건을 설정한 경우CREATE TABLE User ( user_id INT PRIMARY KEY, username VARCHAR(50) NOT NULL);CREATE TABL..
-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알아보자IT 2025. 4. 9. 17:38
📌 Call by Value vs Call by Reference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함수나 메서드에 인자를 전달할 때, 그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Call by Value (값에 의한 호출) 값 자체를 복사해서 전달 함수 내부에서 매개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원본 값에는 영향이 없음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changeValue(int x) { x = 10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50; changeValue(num); System.out.println(num); // 👉 출력: 50 }}설명: ..
-
UTF-8 vs EUC-KR 알아보자IT 2025. 4. 8. 23:06
✅ 문자 인코딩이란?문자 인코딩은 사람이 이해하는 문자(character)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숫자(바이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가”라는 글자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숫자(예: 0xB0A1)로 변환해 저장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규칙이 바로 문자 인코딩 방식입니다.🔤 UTF-8 인코딩 방식UTF-8(8-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은 유니코드 기반의 인코딩 방식으로, 전 세계 대부분의 언어를 표현할 수 있는 범용 인코딩입니다.가변 길이 인코딩: 1~4바이트영어: 1바이트 / 한글: 2~3바이트웹 표준 인코딩다양한 언어를 동시에 표현 가능🇰🇷 EUC-KR 인코딩 방식EUC-KR(Extended Unix Code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