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pringboot] web+jpa vs webflux+r2dbc 비교 (2)Server 2022. 12. 7. 09:49
이번 포스팅에서 starter-web + starter-data-jpa를 이용한 servlet-stack 방식과 starter-webflux + starter-data-r2 dbc를 이용한 reactive-stack 방식의 성능 비교를 해봤었다. 2022.12.04 - [Server] - [Springboot] web+jpa vs webflux+r2dbc 비교 (1) [Springboot] web+jpa vs webflux+r2dbc 비교 (1) 기존의 개발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는 starter-web + starter-data-jp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servlet stack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을것이다. 최근 webflux + r2db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비동기(async) & 논블 tis..
-
[Android] FragmentContainerView Navigation graph action 옵션 enterAnim, exitAnim, popEnterAnim, popExitAnim 알아보기 (2)Android 2022. 12. 6. 11:21
2022.12.06 - [Android] - [Android] FragmentContainerView Navigation graph action 옵션 popUpTo, popUpToInclusive 알아보기 (1) [Android] FragmentContainerView Navigation graph action 옵션 popUpTo, popUpToInclusive 알아보기 (1) FragmentContainerView 학습중에 navGraph 속성으로 쉽게 프래그먼트 이동을 쉽게 설정할수 있다. navGraph 속성으로 넣어주는 xml 구성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기록해 본다. FragmentContainerView 사용하기 위한 tistory.minikode.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enterAnim, e..
-
[Android] FragmentContainerView Navigation graph action 옵션 popUpTo, popUpToInclusive 알아보기 (1)Android 2022. 12. 6. 10:24
FragmentContainerView 학습중에 navGraph 속성으로 쉽게 프래그먼트 이동을 쉽게 설정할수 있다. navGraph 속성으로 넣어주는 xml 구성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기록해 본다. FragmentContainerView 사용하기 위한 과정은? nav_graph_main.xml 파일 생성후 설정해보자 nav_graph_main.xml 파일 구성 총 4개 프래그먼트 생성한후 main second third fourth 이렇게 이동하는 설정을 넣어서 확인해봤다. 여기서 태그 속성중 popUpTo 와 popUpToInclusive 의 값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실제로 값을 변경하면서 확인해봤다. 필자는 id=fourth_to_third에 넣고 확인해봤다. 주의 : 여기서 app:destina..
-
[Springboot] web+jpa vs webflux+r2dbc 비교 (1)Server 2022. 12. 4. 12:47
기존의 개발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는 starter-web + starter-data-jpa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servlet stack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최근 webflux + r2db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비동기(async) & 논블로킹(non-blocking)으로 구현하는 reactive stack 알게 되어 구현해보고 비교해보려 한다. 각각의 stack방식의 코드 작성은 어떻게 할까? 필자는 mariadb와 연결해서 테스트를 위해 각각 blocking 방식 non-blocking 방식을 지원하는 db connection 라이브러리도 포함해서 진행한다. servlet-stack 코드 기본적인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entity를 구성 contr..
-
[TypeScript] tsconfig.json 알아보기Web 2022. 11. 23. 18:56
타입스크립트 형태로 프로젝트 생성을 하게 되면 root path 에 tsconfig.json 이라는 파일이 생성되어있을것이다. 이 파일의 목적은 타입스크립트 ts 파일들을 .js 파일로 변환할 때 어떻게 변환할 것인지 세부설정하기위한 설정파일이다. 기본적으로 생성되어있는 설정값으로 진행해도 되지만 어떠한 설정값이 있는지 알아볼것이다. 필자는 CRA(create-react-app) 을 통해서 타입스크립트용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tsconfig.json 기준으로을 시작을 한다. $ npx create-react-app ts_demo --template typescript 을 입력시 리액트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위처럼 ts_demo 디렉토리를 가보면 tsconfig.json 가 생성되있을 것이다. // 기본..
-
[Javascript] ESLint, Prettier 설정Web 2022. 11. 22. 14:22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사람과 협업을 한다면 전체적으로 코드품질유지를 위해 노력해봤을것이다. 사람들간에 생각하는 코드 방식이 다를것이고, 생각하는 코드컨벤션이 각기 다를것이다. 통일되지 않은 방식으로 개발된다면 초기엔 문제가 되지 않을것이지만 점차 진행하면서, 가독성면에서 문제가 발생할것이고, 그때가서 통일된 방식을 논의하기에도 시간이 더욱 많이 들것이다. 때문에 초기에 코드작성 방식이나 스타일을 미리 정해서 진행하는것이 좋을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툴로는 ESLint 와 Prettier 가 등장했으며, 두가지에 대한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본다. ESLint ESLint statically analyzes your code to quickly find pro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