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pringboot] 스레드와 프로세스를 구분해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18. 17:06
✅ 스레드와 프로세스의 차이점프로세스(Process)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코드, 데이터, 힙, 스택)을 할당받아 실행됩니다.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최소 단위이며,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구분 프로세스 스레드 정의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흐름 메모리 공간 독립적 공유 (코드, 힙 등은 공유하고, 스택은 별도) 통신 방법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필요 메모리 공유로 간편 ..
-
401 error? 403 error? HTTP Status 코드 의미를 구분해보자!Web 2025. 4. 18. 16:55
🔐 401 vs 403 차이 쉽게 이해하기항목401 Unauthorized403 Forbidden의미인증되지 않음접근 권한 없음상태로그인(토큰 등) 안 됨 / 실패로그인 했지만 권한 부족언제 발생?인증 정보 누락, 잘못된 토큰허용되지 않은 리소스 접근해결 방법인증 정보 제공 (로그인 등)권한을 가진 계정 사용 또는 관리자 권한 요청쉽게 말하면"누구세요?" (신분증 보여주세요)"출입 금지" (자격은 있지만 여기 못 들어와요)
-
HTTP Status 상태 코드(2xx, 3xx) 에 대해 알아보자!Web 2025. 4. 18. 16:52
HTTP 상태 코드 200번대와 300번대의 의미와 예시 HTTP 상태 코드는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글에서는 200번대(성공)과 300번대(리다이렉션) 상태 코드를 설명하고, 자주 사용되는 코드를 예시로 정리해봅니다.✅ 200번대: 성공 (Successful)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상태 코드 메시지 설명 200 OK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어 응답 본문에 결과가 포함됨. 201 Created 요청을 통해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예: POST 요청). 202 Accepted ..
-
HTTP Status 상태 코드(4xx, 5xx) 에 대해 알아보자!Web 2025. 4. 18. 16:49
HTTP 상태 코드 4xx와 5xx 상세 정리 웹 개발이나 API 통신에서 자주 마주치는 HTTP 상태 코드는 응답의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4xx(클라이언트 오류)와 5xx(서버 오류)는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디버깅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400번대: 클라이언트 오류 (Client Error)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상태 코드 메시지 설명 400 Bad Request 요청 구문이 잘못되었거나 필수 매개변수가 누락된 경우.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하거나 인증 자격 증명이 올바르..
-
[Mysql] 인덱스는 어떻게 동작할까?DB/Mysql 2025. 4. 17. 14:42
🔍 인덱스는 어떻게 작동하나요?인덱스는 책의 목차처럼, 원하는 데이터를 더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CREATE TABLE users ( id INT PRIMARY KEY, name VARCHAR(50), email VARCHAR(100), age INT);-- email 컬럼에 인덱스를 생성CREATE INDEX idx_email ON users(email);-- email을 조건으로 검색SELECT * FROM users WHERE email = 'test@example.com';이 경우, MySQL은 전체 테이블을 스캔하지 않고 인덱스를 먼저 탐색해 해당 데이터를 빠르게 찾습니다.🚫 어떤 경우에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을까요?모든 상황에서 인덱스가 유..
-
RDBMS 와 NoSQL 비교해 보기IT 2025. 4. 17. 14:31
🔍 RDBMS vs NoSQL 차이점 항목 RDBMS (Relational DBMS) NoSQL (Not Only SQL) 데이터 모델 테이블 기반 (행/열) 문서, 키-값, 그래프, 컬럼 기반 등 스키마 고정 스키마 (정해진 구조) 유연한 스키마 또는 스키마 없음 확장성 수직 확장 (서버 스펙 업) 수평 확장 (서버를 여러 개로 분산) 트랜잭션 ACID 보장 (정합성 우선) 대부분 Eventually Consistent (속도 우선) 쿼리 언어 SQL 전..
-
💡 Java Spring에서 자주 사용하는 ObjectMapperServer/Spring Boot 2025. 4. 17. 14:11
Java로 웹 개발을 하다 보면 객체(Object)와 JSON 사이를 변환해야 하는 일이 굉장히 많습니다. 이때 유용하게 쓰이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ObjectMapper입니다. 특히 Spring에서는 이 ObjectMapper를 이용해서 직렬화(Serialize)와 역직렬화(Deserialize)를 아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죠.이번 포스팅에서는 ObjectMapper의 기본 사용법부터 실무에서 자주 쓰는 옵션들, 그리고 실전 예제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ObjectMapper란?ObjectMapper는 Jackson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클래스입니다.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로 변환하거나, Java 객체를 JSON 문자열로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Spring Boot에서는 기본적으로 Ja..
-
동등하다?(동등성) 동일하다?(동일성) 개념 정리IT 2025. 4. 17. 14:05
✅ 동등성과 동일성의 차이 (Equality vs Identity)Java를 포함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동등성(equality)과 동일성(identity)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겉보기에는 같아 보여도 내부적으로는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죠.🧠 1. 용어 정리구분설명동일성 (Identity)두 객체가 완전히 같은 객체인지 확인. 즉, 메모리 주소가 같은지를 비교. Java에서는 == 연산자를 사용.동등성 (Equality)두 객체의 내용이 같은지를 비교. Java에서는 equals()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여 비교.🔍 2. 자바 코드 예제로 이해하기public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ublic Person(Str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