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Springboot] 테스트도구 JUnit5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21. 15:20
Spring Boot에서 테스트 자동화를 위해 JUnit 5를 써야 하는 이유Spring Boot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테스트 자동화는 유지 보수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테스트 프레임워크가 바로 JUnit입니다. 기존에는 JUnit 4를 많이 사용했지만, 이제는 JUnit 5가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JUnit 5를 써야 할까요?아래에서 그 이유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1. JUnit 5는 완전히 새로 설계된 테스트 플랫폼JUnit 5는 단순히 JUnit 4의 업그레이드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테스트 플랫폼입니다. 아키텍처부터 API까지 모던 자바(자바 8 이상)의 기능을 적극 반영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람다식, 메서드 레퍼..
-
[WEB] HTTP/1.1 이랑 HTTP/2 비교 해 보자!Web 2025. 4. 21. 14:46
✅ HTTP/1.1 vs HTTP/2 비교 항목 HTTP/1.1 HTTP/2 멀티플렉싱 불가능 가능 헤더 압축 없음 있음 (HPACK) 요청 순서 순차 처리 병렬 처리 서버 푸시 없음 가능 연결 수 다수 필요 하나의 연결로 처리 🌐 클라이언트: Axios 예제📦 HTTP/1.1 기본 사용axios.get('http://localhost:8080/api/data')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d..
-
[WEB] application/octet-stream 에 대해 알아보자!Web 2025. 4. 21. 09:34
파일 다운로드와 MIME 타입: application/octet-stream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서버는 응답 헤더에 Content-Type 값을 설정합니다. 이때 자주 사용되는 값 중 하나가 바로 application/octet-stream입니다.application/octet-stream 이란? application/octet-stream은 "임의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의미하는 MIME 타입입니다. 이 타입은 데이터를 특별히 해석하지 않고, 그냥 파일로 다운로드 받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언제 사용하나요? 서버가 특정 파일을 브라우저에서 열지 않고 무조건 다운로드하게 만들고 싶을 때 파일의 정확한 MIME 타입을 알 수 없거나, 다양한 형식을 포괄해야 할 때 보안상 브라우저에서 ..
-
[WEB] MIME 타입? Content-type? 알아보자!Web 2025. 4. 21. 09:32
MIME 타입이란? 웹에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Content-Type 헤더를 통해 데이터의 형식을 알려줍니다. 이때 사용하는 형식을 MIME 타입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type)이라고 합니다.왜 MIME 타입이 중요한가요? 클라이언트는 MIME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인지, 텍스트인지, JSON인지에 따라 렌더링 방식이나 실행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죠.MIME 타입의 구조 MIME 타입은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집니다:type/subtype type: 주된 타입 (예: text, image, application) subtype: 세부 타입 (예..
-
캐시 전략 (Cache Aside, Write-through, Write-back)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 2025. 4. 18. 17:27
캐시 전략 (Cache Strategies)1. Cache Aside (Lazy Load)설명: Cache Aside 전략은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캐시에 직접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캐시가 필요한 데이터를 먼저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고, 그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캐시 미스 시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로드하므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됩니다. 단점: 캐시가 비어 있을 때 첫 번째 요청은 성능상 불리할 수 있습니다.2. Write-through 캐시설명: Write-through 캐시는 데이터를 먼저 캐시에 쓰고, 그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전략입니다. 모든 쓰기 작업은 캐시와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에 적용됩니다. 장점: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점: 모든 쓰기..
-
API Gateway의 역할과 장단점을 알아보자Server 2025. 4. 18. 17:23
API Gateway란?API Gateway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요청을 처리하는 중개자 역할을 합니다. API Gateway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서비스를 하나의 진입점으로 통합하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요청 라우팅, 인증 및 권한 관리, 응답 조합, 로깅, 모니터링 등을 포함합니다.API Gateway의 주요 역할 요청 라우팅 (Request Routing):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적절한 마이크로서비스로 전달합니다. 인증 및 권한 관리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고, 서비스 간의 보안 연결을 제공합니다. 응답 조합 (Respo..
-
모놀리식 아키텍처 vs 마이크로 서비스 비교Server 2025. 4. 18. 17:17
모놀리식 아키텍처 v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1. 모놀리식 아키텍처 (Monolithic Architecture)모놀리식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큰 코드베이스로 구성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 모든 기능은 단일 코드베이스 내에서 함께 실행됩니다. 보통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포되고, 다양한 기능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장점 단순성: 초기 개발이 간단하고, 작은 팀에서도 개발하기 용이합니다. 배포 용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포되므로 배포가 간단하고, 관리가 용이합니다. 통합: 모든 컴포넌트가 하나의 코드베이스 내에 있어 통합 테스트가 쉬운 경우가 많습니다.단점 유연성 부족: 큰 규모로 확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 유지 보수 어려움: 애플리케..
-
웹서버? WAS 서버?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 2025. 4. 18. 17:09
✅ 웹 서버(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차이점웹 개발 환경에서 자주 듣는 웹 서버와 WAS. 이 둘은 비슷해 보이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웹 서버란?웹 서버는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 정적인 파일을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역할: 정적인 리소스를 처리 예시: 정적 웹사이트, 이미지 서버,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등🔸 WAS란?WAS(Web Application Server)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를 생성해 전달하는 서버입니다. 보통 DB 조회, 사용자 인증, 비즈니스 로직 처리 등을 담당합니다. 역할: 동적인 로직 처리 예시: 게시판 글 등록, 로그인 기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