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
[Springboot] 통합 테스트 코드 작성해보기 (Controller)Server/Spring Boot 2025. 4. 21. 15:48
Spring Boot Controller 통합 테스트 (JUnit 5 + MockMvc)이번에는 UserService를 사용하는 UserController에 대한 통합 테스트 예제를 알아봅니다.Spring Boot의 @SpringBootTest와 MockMvc를 활용하여 실제 HTTP 요청/응답 시나리오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1. 컨트롤러 클래스 (UserController.java)@RestController@RequestMapping("/users")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
-
[Springboot]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해보기 (Service, Dao, Repository)Server/Spring Boot 2025. 4. 21. 15:45
Spring Boot에서 JUnit 5로 Service, Repository, DAO 단위 테스트하기1. 엔티티 클래스 (User.java)@Entity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email; // getters, setters, constructors}2. Repository 인터페이스 (UserRepository.java)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 { Optional findByEmail(String email);}3. DAO 클래스 (UserDao.java)@Re..
-
[Springboot] 테스트도구 JUnit5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21. 15:20
Spring Boot에서 테스트 자동화를 위해 JUnit 5를 써야 하는 이유Spring Boot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테스트 자동화는 유지 보수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테스트 프레임워크가 바로 JUnit입니다. 기존에는 JUnit 4를 많이 사용했지만, 이제는 JUnit 5가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JUnit 5를 써야 할까요?아래에서 그 이유를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1. JUnit 5는 완전히 새로 설계된 테스트 플랫폼JUnit 5는 단순히 JUnit 4의 업그레이드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테스트 플랫폼입니다. 아키텍처부터 API까지 모던 자바(자바 8 이상)의 기능을 적극 반영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람다식, 메서드 레퍼..
-
[WEB] HTTP/1.1 이랑 HTTP/2 비교 해 보자!Web 2025. 4. 21. 14:46
✅ HTTP/1.1 vs HTTP/2 비교 항목 HTTP/1.1 HTTP/2 멀티플렉싱 불가능 가능 헤더 압축 없음 있음 (HPACK) 요청 순서 순차 처리 병렬 처리 서버 푸시 없음 가능 연결 수 다수 필요 하나의 연결로 처리 🌐 클라이언트: Axios 예제📦 HTTP/1.1 기본 사용axios.get('http://localhost:8080/api/data')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d..
-
캐시 전략 (Cache Aside, Write-through, Write-back)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 2025. 4. 18. 17:27
캐시 전략 (Cache Strategies)1. Cache Aside (Lazy Load)설명: Cache Aside 전략은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캐시에 직접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캐시가 필요한 데이터를 먼저 데이터베이스에서 읽고, 그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캐시 미스 시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로드하므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됩니다. 단점: 캐시가 비어 있을 때 첫 번째 요청은 성능상 불리할 수 있습니다.2. Write-through 캐시설명: Write-through 캐시는 데이터를 먼저 캐시에 쓰고, 그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전략입니다. 모든 쓰기 작업은 캐시와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에 적용됩니다. 장점: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점: 모든 쓰기..
-
[Springboot] 스레드와 프로세스를 구분해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18. 17:06
✅ 스레드와 프로세스의 차이점프로세스(Process)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로부터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코드, 데이터, 힙, 스택)을 할당받아 실행됩니다.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최소 단위이며, 하나의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구분 프로세스 스레드 정의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업의 흐름 메모리 공간 독립적 공유 (코드, 힙 등은 공유하고, 스택은 별도) 통신 방법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필요 메모리 공유로 간편 ..
-
MapStruct 의 다양한 사용에 대해 알아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16. 13:08
🚀 MapStruct 고급 매핑 예제이번엔 MapStruct를 좀 더 깊이 있게 사용하는 예제들을 소개합니다.List 매핑, @AfterMapping, @Named, @InheritInverseConfiguration 등 실제 프로젝트에서도 매우 유용한 기능들이에요.1️⃣ List 매핑컬렉션 타입도 자동 매핑 가능합니다.// 단일 DTO 매핑 메서드UserDto toDto(User user);// 리스트 매핑List toDtoList(List users);단, 단일 객체 매핑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어야 리스트 매핑도 동작합니다.---2️⃣ @AfterMapping - 매핑 후 추가 작업 처리매핑이 완료된 후 후처리를 하고 싶을 경우 @AfterMapping을 사용합니다.@Mapper(component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