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
OSI 7 계층과 TCP, HTTP 의 이해Web 2025. 4. 22. 13:21
TCP와 HTTP의 차이점 이해하기 전에 알아야 할 OSI 7계층인터넷 통신을 이해하려면 먼저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을 알아야 합니다. 이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단계로 나누어 각 계층이 수행하는 역할을 정의합니다.1. OSI 7계층이란? OSI 7계층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7단계로 나눈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1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전기 신호, 케이블, 하드웨어 연결 등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MAC 주소를 이용한 프레임 전송, 오류 감지 3계층 - 네트..
-
[WEB] HTTP/1.1 이랑 HTTP/2 비교 해 보자!Web 2025. 4. 21. 14:46
✅ HTTP/1.1 vs HTTP/2 비교 항목 HTTP/1.1 HTTP/2 멀티플렉싱 불가능 가능 헤더 압축 없음 있음 (HPACK) 요청 순서 순차 처리 병렬 처리 서버 푸시 없음 가능 연결 수 다수 필요 하나의 연결로 처리 🌐 클라이언트: Axios 예제📦 HTTP/1.1 기본 사용axios.get('http://localhost:8080/api/data') .then(response => { console.log(response.d..
-
[WEB] application/octet-stream 에 대해 알아보자!Web 2025. 4. 21. 09:34
파일 다운로드와 MIME 타입: application/octet-stream 웹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서버는 응답 헤더에 Content-Type 값을 설정합니다. 이때 자주 사용되는 값 중 하나가 바로 application/octet-stream입니다.application/octet-stream 이란? application/octet-stream은 "임의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의미하는 MIME 타입입니다. 이 타입은 데이터를 특별히 해석하지 않고, 그냥 파일로 다운로드 받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언제 사용하나요? 서버가 특정 파일을 브라우저에서 열지 않고 무조건 다운로드하게 만들고 싶을 때 파일의 정확한 MIME 타입을 알 수 없거나, 다양한 형식을 포괄해야 할 때 보안상 브라우저에서 ..
-
[WEB] MIME 타입? Content-type? 알아보자!Web 2025. 4. 21. 09:32
MIME 타입이란? 웹에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Content-Type 헤더를 통해 데이터의 형식을 알려줍니다. 이때 사용하는 형식을 MIME 타입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type)이라고 합니다.왜 MIME 타입이 중요한가요? 클라이언트는 MIME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인지, 텍스트인지, JSON인지에 따라 렌더링 방식이나 실행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죠.MIME 타입의 구조 MIME 타입은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집니다:type/subtype type: 주된 타입 (예: text, image, application) subtype: 세부 타입 (예..
-
401 error? 403 error? HTTP Status 코드 의미를 구분해보자!Web 2025. 4. 18. 16:55
🔐 401 vs 403 차이 쉽게 이해하기항목401 Unauthorized403 Forbidden의미인증되지 않음접근 권한 없음상태로그인(토큰 등) 안 됨 / 실패로그인 했지만 권한 부족언제 발생?인증 정보 누락, 잘못된 토큰허용되지 않은 리소스 접근해결 방법인증 정보 제공 (로그인 등)권한을 가진 계정 사용 또는 관리자 권한 요청쉽게 말하면"누구세요?" (신분증 보여주세요)"출입 금지" (자격은 있지만 여기 못 들어와요)
-
HTTP Status 상태 코드(2xx, 3xx) 에 대해 알아보자!Web 2025. 4. 18. 16:52
HTTP 상태 코드 200번대와 300번대의 의미와 예시 HTTP 상태 코드는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 글에서는 200번대(성공)과 300번대(리다이렉션) 상태 코드를 설명하고, 자주 사용되는 코드를 예시로 정리해봅니다.✅ 200번대: 성공 (Successful)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상태 코드 메시지 설명 200 OK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어 응답 본문에 결과가 포함됨. 201 Created 요청을 통해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됨 (예: POST 요청). 202 Accepted ..
-
HTTP Status 상태 코드(4xx, 5xx) 에 대해 알아보자!Web 2025. 4. 18. 16:49
HTTP 상태 코드 4xx와 5xx 상세 정리 웹 개발이나 API 통신에서 자주 마주치는 HTTP 상태 코드는 응답의 상태를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4xx(클라이언트 오류)와 5xx(서버 오류)는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디버깅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400번대: 클라이언트 오류 (Client Error)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요청으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상태 코드 메시지 설명 400 Bad Request 요청 구문이 잘못되었거나 필수 매개변수가 누락된 경우.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하거나 인증 자격 증명이 올바르..
-
REST API 설계 원칙 중 PUT, PATCH 차이 (멱등성 관련)Web 2025. 4. 15. 15:29
💡 멱등성(Idempotence)이란?멱등성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같은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해도 결과가 처음 한 번 적용했을 때와 동일한 성질을 말합니다.REST API에서 멱등성은 다음처럼 이해할 수 있어요:"같은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서버 상태가 한 번 요청했을 때와 같아야 한다."🔍 예시로 이해하기 DELETE /users/123 요청을 생각해봅시다. 한 번 보내면 사용자 123이 삭제됩니다. 두 번 보내도 이미 삭제되어 있어서 서버 상태엔 변화가 없습니다.→ 따라서 DELETE는 멱등한 메서드입니다.✅ HTTP Method와 멱등성 HTTP Method 멱등성 있음? 설명 GE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