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inux
-
리눅스 데몬(daemon) 이란?Server/Linux 2025. 4. 23. 11:33
🐧 리눅스에서 데몬(daemon)이란?데몬(daemon)은 리눅스 또는 유닉스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시스템 부팅 시 자동 실행되어 사용자 개입 없이 동작합니다.✨ 왜 데몬이 필요한가?데몬은 시스템 서비스 제공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데몬 이름역할 sshdSSH 원격 접속 처리 cron예약된 작업 자동 실행 httpd웹 서버 서비스 제공 mysqldMySQL 데이터베이스 실행🔐 데몬의 권한 및 설정✅ 기본 권한대부분의 데몬은 root 권한으로 실행되며, 보안을 위해 전용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행 사용자 변경 예시[Service]ExecStart=/usr/bin/mydaemonUser=www-dataGroup=www-data✅ 권한 제..
-
[Swap memory] 스왑 메모리 늘리기Server/Linux 2022. 10. 23. 19:56
스왑 메모리란, 실제 메모리 Ram이 가득 찼지만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할때 디스크 공간을 이용하여 부족한 메모리를 대체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실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가상 메모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스왑메모리 10기가 정도 설정함 $ dd if=/dev/zero of=/swapfile10G bs=1MiB count=10240 $ chmod 600 /swapfile10G $ mkswap /swapfile10G $ swapon /swapfile10G $ vi /etc/fstab $ /swapfile10G swap swap defaults 0 0
-
[OS최적화] 5. tcp_max_tw_buckets 소켓 개수 증가Server/Linux 2022. 10. 20. 17:08
tcp_max_tw_buckets 소켓 개수 증가 하는 리눅스 명령어 입니다. 현재값 확인: $ sysctl net.ipv4.tcp_max_tw_buckets 즉시적용: $ sysctl -w net.ipv4.tcp_max_tw_buckets=1800000 $ echo 1800000 > /proc/sys/net/ipv4/tcp_max_tw_buckets 영구적용: $ echo "net.ipv4.tcp_max_tw_buckets=1800000" >> /etc/sysctl.conf
-
[OS최적화] 4. SYN 백로그 큐 증가Server/Linux 2022. 10. 20. 17:06
SYN 백로그 큐 증가 하는 리눅스 명령어 입니다. 현재값 확인: $ echo "net.ipv4.tcp_max_syn_backlog=1024" >> /etc/sysctl.conf 즉시적용: $ sysctl net.ipv4.tcp_max_syn_backlog 영구적용: $ sysctl -w net.ipv4.tcp_max_syn_backlog=1024 $ echo 1024 > /proc/sys/net/ipv4/tcp_max_syn_backlog
-
[OS최적화] 2. 각 네트워크 장치 별로 커널이 처리하도록 쌓아두는 queue의 크기 증가Server/Linux 2022. 10. 13. 16:07
- 네트워크 장치별로 커널이 처리할수 있도록 queue 크기를 늘려 원할하게 사용가능 -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증했을 경우 유용 현재값 확인 명령어 $ sysctl net.core.netdev_max_backlog 즉시적용 명령어 # 크기를 30000으로 설정 $ sysctl -w net.core.netdev_max_backlog=30000 $ echo 30000 > /proc/sys/net/core/netdev_max_backlog 영구적용 명령어 $ echo "net.core.netdev_max_backlog=30000" >> /etc/sysctl.conf
-
[OS최적화] 1. Centos7 소켓 생성시 사용가능한 포트 범위Server/Linux 2022. 10. 13. 14:07
- 기본적으로 동시에 사용 가능한 포트 범위를 늘려서 네트워크 상태를 원활하게 사용 가능. - 일반적인 웹서버는 80번 또는 443번 포트로 listen()으로 요청을 기다려 TCP 연결을 맺을 땐 port를 늘리지 않지만, 다른 서버로 요청하면 연결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소켓 포트 늘릴 상황일 때 유용 현재값 확인 $ sysctl net.ipv4.ip_local_port_range 즉시적용 # 1024 ~ 65535 범위로 변경 $ sysctl -w net.ipv4.ip_local_port_range=1024 65535 $ echo "1024 65535" > /proc/sys/net/ipv4/ip_local_port_range 영구적용 # 1024 ~ 65535 범위로 변경 $ echo "net.ipv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