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렬 알고리즘 (Sorting algorithm) 종류 및 구현 알아보기!IT 2025. 4. 23. 15:23728x90반응형
1. 버블 정렬 (Bubble Sort)
가장 단순한 정렬 방식으로, 인접한 두 수를 비교하며 정렬합니다. 성능은 느리지만 구현이 쉬워 교육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ublic void bubbleSort(int[] arr) { int n = arr.length; for (int i = 0; i < n - 1; i++) { for (int j = 0; j < n - i - 1; j++) { if (arr[j] > arr[j + 1]) { int temp = arr[j]; arr[j] = arr[j + 1]; arr[j + 1] = temp; } } } }
2. 선택 정렬 (Selection Sort)
매 반복마다 가장 작은(또는 큰) 값을 선택해 앞으로 보내는 방식입니다. 버블 정렬보다 비교 횟수는 적지만 여전히 비효율적입니다.
public void selectionSort(int[] arr) { int n = arr.length; for (int i = 0; i < n - 1; i++) { int minIdx = i; for (int j = i + 1; j < n; j++) { if (arr[j] < arr[minIdx]) { minIdx = j; } } int temp = arr[minIdx]; arr[minIdx] = arr[i]; arr[i] = temp; } }
3. 삽입 정렬 (Insertion Sort)
현재 값을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거의 정렬된 배열에는 빠르게 동작합니다.
public void insertionSort(int[] arr) { for (int i = 1; i < arr.length; i++) { int key = arr[i]; int j = i - 1; while (j >= 0 && arr[j] > key) { arr[j + 1] = arr[j]; j--; } arr[j + 1] = key; } }
4. 퀵 정렬 (Quick Sort)
분할 정복 알고리즘으로, 기준 피벗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를 나누어 정렬합니다.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성능을 보입니다.
public void quickSort(int[] arr, int low, int high) { if (low < high) { int pi = partition(arr, low, high); quickSort(arr, low, pi - 1); quickSort(arr, pi + 1, high); } } private int partition(int[] arr, int low, int high) { int pivot = arr[high]; int i = low - 1; for (int j = low; j < high; j++) { if (arr[j] <= pivot) { i++; int temp = arr[i]; arr[i] = arr[j]; arr[j] = temp; } } int temp = arr[i + 1]; arr[i + 1] = arr[high]; arr[high] = temp; return i + 1; }
728x90반응형'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LLM 용어에 대해 알아보자! (0) 2025.04.25 RDBMS 와 NoSQL 비교해 보기 (0) 2025.04.17 동등하다?(동등성) 동일하다?(동일성) 개념 정리 (0) 2025.04.17 Git 브랜치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 git flow) (0) 2025.04.16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 알아보자 (1)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