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
💡 Java Spring에서 자주 사용하는 ObjectMapperServer/Spring Boot 2025. 4. 17. 14:11
Java로 웹 개발을 하다 보면 객체(Object)와 JSON 사이를 변환해야 하는 일이 굉장히 많습니다. 이때 유용하게 쓰이는 라이브러리가 바로 ObjectMapper입니다. 특히 Spring에서는 이 ObjectMapper를 이용해서 직렬화(Serialize)와 역직렬화(Deserialize)를 아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죠.이번 포스팅에서는 ObjectMapper의 기본 사용법부터 실무에서 자주 쓰는 옵션들, 그리고 실전 예제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ObjectMapper란?ObjectMapper는 Jackson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클래스입니다.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로 변환하거나, Java 객체를 JSON 문자열로 변환할 때 사용합니다.Spring Boot에서는 기본적으로 Ja..
-
[Springboot] 외부 HTTP 호출 Retry와 재처리 전략Server/Spring Boot 2025. 4. 15. 14:28
외부 API를 호출할 때는 항상 실패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안정적인 Retry 정책을 세워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Boot 환경에서 Resilience4j를 활용한 Retry와 재시도 큐(DB + 스케줄러) 전략을 함께 설명합니다.✅ 1. 어떤 요청에 Retry를 적용해야 할까? Retry 가능한 요청 GET, HEAD, OPTIONS 같은 멱등한 요청 HTTP 5xx 또는 네트워크 예외 (timeout 등) Retry 피해야 할 요청 POST, PUT, DELETE 같은 멱등하지 않은 요청 비즈니스 오류나 중복 처리 위험이 있는 경우 ✅ 2. 어떤 예외/상태코드에 Retry를 걸어야 할까? Retry 권장: Sock..
-
Springboot Timezone(타임존) 에 대해 알아보자!Server/Spring Boot 2025. 4. 15. 00:01
시간은 모든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다른 시간대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시간 처리를 위해 타임존 개념과 변환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KST(한국 표준시)와 UTC(세계 표준시)의 개념 비교부터 Spring Boot에서의 변환 예제까지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KST vs UTC 구분 설명 UTC (Coordinated Universal Time) 전 세계 표준 시간. 한국 시간(KST)은 UTC보다 9시간 빠름 KST (Korea Standard Time) 한국 표준 시간 (UTC +09:00) 📌 예시:- UTC 기준: 2025-04-14 06:00:00- KST 기준: 2..